2026년 해양수산부 예산안 주요 내용

해양수산부는 내년 예산을 올해보다 8.1% 증가한 7조 3287억 원으로 편성하였으며, 주로 북극항로 시대 주도와 해양수산 전 분야 인공지능(AX) 지원에 중점을 두었다. 이는 기후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사업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다양한 부문에서 예산이 증가하였다. 예산안은 수산업과 해양산업을 적극 지원하고, 해양 주권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구성되었다.

Key Points of the 2026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Budget
2026년 해양수산부 예산안

북극항로 시대를 주도하는 해양강국

해양수산부는 북극항로를 주도하기 위한 다양한 투자를 계획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해운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북극항로는 아시아와 유럽을 연결하는 최단거리 이동 경로로, 물류 비용 절감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며, 관련 산업의 동반 성장을 가능하게 할 것입니다.

이를 위해 해수부는 해운선사들이 필요로 하는 쇄빙선 및 내빙선의 건조를 지원하고 있으며,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를 위한 기술 개발에 대한 추가 투자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올해보다 8배 이상 증가한 677억 원의 예산이 책정되어 이와 관련된 기술 개발이 진행될 것입니다.

아울러, 극지 해기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 시스템도 새롭게 구축되고, 북극 화물 거점 항만 및 친환경 스마트 항만 조성을 위한 지원도 확장될 것입니다. 이러한 노력은 대한민국을 글로벌 물류 허브로 만들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볼 수 있습니다.

A maritime powerhouse leading the Arctic shipping route era
북극항로시대를 주도하는 K-해양강국 건설

경쟁력 있는 수산업과 활력 넘치는 어촌 조성

수산업의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해양수산부는 생산부터 유통, 가공, 수출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의 개선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생산 분야에서는 양식업의 스마트 전환을 위한 신규 투자가 계획되고 있으며, 첨단 양식 설비의 보급도 확대할 예정입니다.

유통 분야에서는 물김 생산자와 가공업체 간의 계약 생산 지원을 통해 안정적인 원물 확보 및 가격 안정을 도모할 것입니다. 이와 함께, 수산물을 원활하게 유통하기 위한 자금 지원도 더욱 넓어질 예정입니다.

또한, 어촌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대규모 어촌 경제 거점을 신규 조성하고 청년들의 어촌 정착을 위한 지원 역시 증가할 것입니다. 비대면 의료 서비스 제공을 위한 어복버스 운영 및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다양한 지원이 계획되고 있어, 어촌의 경제와 환경 모두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됩니다.

Creating a competitive fishing industry and vibrant fishing communities
서울 광화문광장, 열린 '2025 귀어귀촌·어촌관광 한마당' 행사 (출처: 정책브리핑)

안전하고 청정한 바다를 위한 해양 주권 강화

해수부는 해양 주권을 강화하고, 바다의 안전과 청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사업을 전개할 것입니다. 이를 위해 불법 어업에 대응하기 위한 예산이 증대되고, 해양연구선 건조 및 AI 기반의 해양 영상 분석 기술 개발을 추진하여 해역의 감시 및 관리 역량을 강화할 것입니다.

해상 교통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GPS 전파 혼신 대응 장비를 보급하고, 해상안개 관측 시스템 구축을 통해 신종 사고에도 적극적으로 대비할 것입니다. 또한, 스마트 선박안전지원센터를 건립하여 선제적 사고 예방 체계를 갖추는데 주력할 것입니다.

이와 함께 해양 폐기물 저감을 위해 어구와 부표 보증금 제도를 확대 적용하고, 해양 환경 보호를 위한 다양한 시책을 시행할 것입니다. 이러한 정책들은 해양 수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기반 작업으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해양수산부의 내년도 예산안은 기후 위기 대응과 해양 수도권 조성을 위한 중요한 투자로, 다방면에서 해양산업의 미래를 밝히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이를 통해해양수산부는 국내 해양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Strengthening maritime sovereignty for a safe and clean ocean
불법어업 대응 단속


댓글

Popular Posts

전기차 인센티브 축소와 자동차 산업 대응

EV 시장의 미래와 중국의 영향력

트럼프 자동차 관세로 얼룩진 시장 갈등

항공기 생산기준과 안전 우려

트럼프의 관세 정책과 경제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