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물가 안정과 내수 활성화 방안 발표
정부가 추석 물가 안정과 내수 활성화를 위해 역대 최대 규모의 성수품을 공급하고 최대 50%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고 발표했다. 구윤철 부총리는 이러한 내용을 국무회의에서 보고하며 내수 활성화를 위한 다각적인 방안을 제시했다. 오는 추석을 맞아 민생 안정과 지방 중심의 내수 활성화가 주요 목표이다.
|
서울 시내 대형마트에 진열된 돼지고기 (출처: 정책브리핑) |
추석 물가 안정 총력
추석이 다가옴에 따라 정부는 성수품 물가 안정을 위해 배추, 무, 소·돼지고기, 고등어 등 총 21종의 성수품을 역대 최대인 17만 2000톤을 공급할 예정이다. 이번 조치는 시장 가격이 급등하는 것을 방지하고, 소비자들이 부담 없이 명절을 보낼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마련됐다.
정부 지원으로 전통시장에서 성수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은 최대 50%까지 할인된 가격으로 제품을 구매할 수 있으며, 추석 선물 세트 역시 최대 50% 할인된 가격으로 구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는다. 이러한 할인은 소비자들의 부담을 덜어줄 뿐만 아니라, 전통시장의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욱이 정부는 칩 제조용 감자, 해바라기씨유 등을 포함한 총 6종의 식품 원료를 할당관세 적용 품목에 추가하여 물가 안정을 도모한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시장의 공급 문제가 해결되기를 바라며, 가격 안정화를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지속적으로 펼쳐나갈 계획이다.
|
대통령실 |
민생 부담 경감 방안
정부는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도 추진하고 있다. 역대 최대인 43조 2000억 원 규모의 자금을 지원하여 이들이 어려운 경제 상황에서 회복할 수 있도록 돕겠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전통시장에서 성수품 구매를 돕기 위해 성수품 구매대금 50억 원 규모의 저리 대출도 시행할 예정이다.
온누리상품권 사용이 확대되어 234개 시장에서 400개 시장으로 늘어나며, 각 시장에서는 구매 금액에 따라 환급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3만 4000원에서 6만 7000원 구매 시 1만 원, 6만 7000원 이상 구매할 경우 2만 원이 즉시 환급된다. 이러한 정책들은 서민들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기 위한 실질적인 방안으로 작용할 것이다.
또한, 공공배달앱을 통한 할인쿠폰 지급 기준이 완화되어, 2만 원 이상 결제하는 소비자에게는 즉시 5000원의 할인이 제공된다. 이러한 제도도 소상공인을 지원하고 소비를 촉진하는 데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나아가, E-9 비자 요건을 완화하여 외식업 소상공인의 비용 절감 방안도 추진한다고 밝혔다.
|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 발표 (출처: 뉴데일리) |
지방 중심 내수 활성화 방안
지방 중심의 내수 활성화를 위해 정부는 4조 7000억 원 규모의 소비쿠폰을 22일부터 지급할 예정이다. 소비 인센티브를 확대하고 특별재난지역에 대한 숙박쿠폰 15만 장을 발행함으로써 내수 경제를 더욱 활성화하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근로자 휴가 지원도 15만 명에서 17만 명으로 늘리고, 지역사랑 상품권을 10조 원 규모로 발행하여 할인률도 기존보다 증가시킬 계획이다. 이러한 조치는 지방 경제를 활성화하고 소비를 촉진시키기 위한 종합적인 대응 전략으로 평가된다.
또한, 스포츠 관람 쿠폰 지급을 기초연금 수급 대상자에서 65세 이상으로 확대하고, 전시 공연 쿠폰의 발급 횟수 및 비수도권의 할인액도 증가시키겠다고 밝혔다. 이러한 조치들은 특히 지방 소외 계층에 대한 배려가 포함된 정책으로, 민생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추석 연휴 기간인 10월 4일 자정부터 10월 7일까지는 고속도로 통행료가 전액 면제되어 국민들이 경제적 부담 없이 명절을 즐길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정부는 이번 발표를 통해 추석 물가 안정과 내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종합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정책들은 불확실한 현대 경제 환경에서 우리 국민의 민생 안전과 경제 회복을 기할 수 있는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이번 정부의 발표는 국민의 생활 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구체적인 대책으로 다가오고 있다. 향후 정책이 성공적으로 시행되길 바라며, 국민들은 적극적으로 정부의 지원을 활용하여 경제적 부담을 덜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
지방 살리기 상생소비정책 (출처: 산업종합저널) |
댓글
댓글 쓰기
💬 Questions are welcome! Any defamatory or promotional comments will be removed.